전체뉴스

고용노동부, 내게 딱 맞는 일자리, AI가 찾아줬다 … 취업자 8.7만 명

’25년 상반기 ‘AI 일자리 매칭’ 취업자 87,212명,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고용노동부는 올해 상반기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고용서비스 이용 실적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를 통한 실제 취업 성과도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 AI가 나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아준다?

 

‘AI 일자리 매칭’ 서비스는 구직자의 이력서, 경력, 입사지원서 등을 분석해 적합한 일자리를 자동으로 추천해 주는 서비스이다.

 

기존에는 수많은 공고를 일일이 살펴야 했지만, 이제는 AI가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알아서’ 골라주면서 구직 편의성과 효율을 크게 높였다. 특히 이 서비스를 통해 취업에 성공한 이용자는 올해 상반기에만 87,212명으로 전년 동기(47,409명) 대비 84% 증가했다. AI 서비스를 활용한 구직자들은 경영‧사무‧금융직과 연구‧공학 기술직 분야에서 이용 비중이 높았으며, AI가 추천한 일자리 취업자는 구직자가 혼자 입사 지원하여 취업한 경우보다 고용보험 기준 월평균 임금(취득임금)이 12만 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 회사는 유명하지 않은데‧‧‧” AI가 인재 연결

 

서비스의 효과는 실제 구직자들의 사례에서도 확인된다. 경력 단절 후 재취업을 준비하던 30대 여성 ㄱ 씨는 “AI가 예상치 못한 안전컨설팅 직무를 추천해줘서 도전했고, 곧바로 입사까지 연결됐다”라며 “제 전공을 살려 제2의 커리어를 시작할 수 있게 된 계기였다”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채용 현장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정보기술(IT) 보안 분야 중소기업 ㄴ 사는 “우리 회사처럼 인지도가 낮은 곳도 AI를 통해 적합한 인재를 연결받아 채용에 성공할 수 있었다”라며 “특히 이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된다는 점이 중소기업에는 큰 장점”이라고 전했다.

 

◇ “잡케어”는 진로상담 도우미 ‧‧‧ 청년층 활용 급증

 

이와 함께 진로탐색, 직업선택, 취업준비를 지원하는 ‘잡케어 서비스’도 이용자가 크게 늘었다. 잡케어는 구직자의 이력서‧자기소개서 등을 AI가 분석해 진로 로드맵, 적합직무, 훈련추천 등을 제공하는 진로상담 도우미로, 특히 청년층의 호응이 컸다. 올해 상반기 잡케어 보고서 생성 건수는 274,31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81,934건) 대비 50% 증가했으며, 20대 이하 이용자가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앞으로 더 똑똑해지는 AI 취업 도우미

 

고용노동부는 9월부터 구인‧구직자를 위한 4종의 신규 AI 기반 서비스를 고용24에 추가할 예정이다. ▲개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추천하는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구직자의 취업가능성을 분석해 주는 ‘취업확률모델’, ▲역량개발에 필요한 훈련과정만 콕 집어서 제시하는 ‘AI 직업훈련 추천’, ▲간단한 조건만 입력하면 기업의 채용공고를 자동 생성해주는 ‘구인공고 AI 작성지원’이다.

 

조정숙 고용지원정책관은 “구직자와 기업은 적합한 일자리와 인재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라며, “신속한 일자리 매칭을 위해 AI,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쉽고, 편리한, 맞춤형 고용지원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박형대 전남도의원, 내년부터 농촌주민수당 전면 시행되도록 전남의 적극적 노력 강조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전라남도의회 박형대 의원(진보당, 장흥1)은 지난 7월 22일 열린 제392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전라남도가 추진 중인 기본소득 시범사업의 불공정성과 성과 부재를 지적하며, “내년부터 도입이 예상되는 농촌주민수당과 연계한 전략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재명 정부는 농어촌 주민의 공익적 기여에 대해 주민수당을 단계적으로 지급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하고, 소멸위기 지역부터 지역화폐로 우선 지급하겠다고 밝혔다”며 “전남도는 이 같은 정부 공약 이행을 위해 중앙정부와의 협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현재 전남 기본소득 시범사업은 일부 시군에 한정돼 형평성 문제가 크고, 소비쿠폰 등 기존 정부사업과 중복되어 실질적인 정책 효과를 분석하기 어렵다”며 “예산만 낭비되고 도민 체감도는 떨어지는 구조로는 정책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전남도는 올해 3월 ‘전라남도 기본소득 기본조례’를 제정해 영광군과 곡성군 주민에게 지역화폐 형태의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시군 간 지원 기준의 명확성 부족과 대상자 선정의 공정성 문제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