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제2의 ‘불곰’ 탄생할까? 김백준, 이태훈, 배용준, 최승빈… PGA투어 큐스쿨 2차전 ‘출격’

 

(뉴스인020 = 김민석 기자) 제2의 ‘불곰’이 탄생할까?

 

김백준(24.team속초아이), 이태훈(35.캐나다), 배용준(25.CJ), 최승빈(24.CJ)이 PGA투어 큐스쿨 2차전에 나선다.

 

김백준과 배용준은 미국 플로리다 컨서버토리 앳 해먹 비치, 이태훈은 미국 조지아 더 랜딩스 클럽 그리고 최승빈은 미국 엘라배마 RTJ 골프 트레일 하이랜드 오크에서 펼쳐지는 PGA투어 큐스쿨 2차전 참가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모두 현지 시간으로 다음 달 2일부터 5일까지 나흘간 진행된다.

 

김백준, 이태훈, 배용준은 2025 시즌 KPGA 투어 최종전 ‘KPGA 투어챔피언십 in JEJU’를 마친 뒤 각각 제네시스 포인트 2위, 3위, 5위에 자리해 PGA투어 큐스쿨 직행 자격을 따냈다.

 

김백준은 “최근 아이언샷과 쇼트게임을 집중적으로 다듬으며 전체적인 경기 흐름을 안정시키는 데 집중했다”며 “꾸준한 플레이로 내 실력을 보여주고 싶다. 한 단계씩 차근차근 올라간다는 마음으로 임하겠다”고 전했다.

 

이태훈은 “올해 전반적으로 컨디션과 샷 모두 좋아 PGA투어 큐스쿨에서도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며 “팬 분들께 PGA투어에서 활약하는 모습도 보여드리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배용준은 “요즘 샷과 퍼트 감각이 좋아 흐름 자체가 긍정적이다. 부담을 덜고 자신 있는 플레이만 이어가면 충분히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믿는다”며 “이번 PGA투어 큐스쿨 2차전에서도 흔들림 없는 경기력을 보여드리고 싶다”고 다짐했다.

 

최승빈은 지난 달 10일 미국 애리조나에서 열린 PGA투어 큐스쿨 1차전에서 공동 16위를 기록하며 2차전에 진출했다. 최승빈은 2022년부터 4년 연속 PGA투어 큐스쿨에 도전해 2차전까지 진출하고 있지만 아직 최종전까지는 나서지 못했다.

 

최승빈은 “PGA투어 큐스쿨 1차전을 통과하고 준비하면서 경기 감각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해왔다. 중요한 무대라 부담도 있지만 기대도 크다”며 “좋은 흐름을 그대로 이어서 마지막까지 내 방식대로 플레이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지난해에는 이승택(30.경희)이 제네시스 포인트 상위자 자격으로 PGA투어 큐스쿨 2차전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했다. 당시 이승택은 공동 14위의 성적을 적어내 PGA투어 큐스쿨 최종전 진출 자격을 따냈다.

 

이후 이승택은 PGA투어 큐스쿨 최종전에서 공동 14위에 올랐고 이번 시즌 콘페리투어 출전권을 확보했다. 이승택은 올 시즌 콘페리투어에서 준우승 1회 및 TOP10 6회 진입 포함 21개 대회서 컷통과하는 꾸준한 활약으로 콘페리투어 포인트 13위에 오르며 2026 시즌 PGA투어 시드를 확보했다.

 

이승택에 이어 이번에도 KPGA 투어 내 제네시스 포인트 특전 제도를 통해 ‘꿈의 무대’로 진출하는 선수가 탄생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경기도-한국은행, 디지털시대 서비스업성장 위한 지역경제 세미나 개최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는 25일 한국은행과 함께 ‘디지털 전환 시대, 서비스업 성장전략’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정과제 ‘서비스업 경쟁력 제고를 통한 내수·수출 활성화’ 의 핵심분야인 디지털 전환과 서비스업 혁신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정부 정책의 실행 거점으로서 경기도의 역할과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는 한국은행 김민정 경제조사팀장의 ‘온라인 소비확대가 경기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조발제 후 오완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세션별 전문가들이 각 주제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세션1에서 김현학 국민대학교 교수는 ‘경기도 서비스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디지털 전환을 위한 종합적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며 “서비스산업 특화지원 프로그램 신설, 경기도형 ‘디지털 스킬’인력 양성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세션2에서는 김민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센터장이 ‘경기도 중점 서비스산업 발전방안’ 발표를 통해 “제3차 경기도 서비스산업 육성 기본계획은 경기도 서비스업의 디지털 혁신 방안을 담은 연구결과”라며 “디지털 콘텐츠 등 관련 중점 육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