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충남

전라남도의회 박형대·오미화 전남도의원, 트럼프 관세협박 반대 전남도청 앞 농성 돌입

쌀·소고기 농업추가 개방은 주권 포기...정부는 당당히 협상 임해야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적인 관세협박과 이에 따른 정부의 쌀·소고기 등 농업추가개방 가능성에 반대해, 전라남도의회 진보당 소속 박형대(장흥1), 오미화(영광2)의원이 28일 전남도청 앞에서 농성에 돌입했다.

 

박형대 의원은 “트럼프의 일방적 관세 부과는 WTO 등 국제규범을 위반하고 한미 FTA 체계마저 무시하는 위협 행위”라며 “정부는 미국의 압박에 굴복하지 말고 주권국가로서 당당하게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특히 쌀과 소고기 등 농업 부문의 추가 개방은 협상 테이블에조차 올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미국 측은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수입 확대, 밥쌀용 쌀 구입 확대, 유전자변형 감자(LMO)와 사과 등 과일 검역 완화 등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을 한국에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미화 의원은 “한국은 이미 미국산 쌀과 소고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로 쌀은 국내 수요와 무관하게 의무 수입하고 있는 현실에서 추가 개방은 국민건강과 농촌경제를 동시에 파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정부가 미국의 일방적 요구에 끌려가다 전남 농민들의 삶과 우리 식량주권을 넘겨주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전남은 쌀 생산량 전국 1위, 한우 사육두수 전국 2위 지역으로, 농산물 수입 확대 시 전남 농업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된다.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에 따르면 전남의 벼 재배면적은 14만7천ha, 쌀 생산량은 연간 70만 톤에 이른다.

 

한우는 60만두 이상이 사육되고 있어, 미국산 농축산물 수입 확대는 가격하락과 유통불안 등 지역 농가의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오는 8월 1일 관세 유예 시한 종료를 앞두고 미국과 마지막 통상 협상을 진행 중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는 31일(미국 현지시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협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협상 시한이 임박한 데다 미국 측은 일본과의 합의 사례를 내세워 농산물 개방을 압박하고 있어 최종 타결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박형대 의원은 “이재명 정부는 국민주권 정부임을 자임했다면 조공외교가 아닌 주권을 지키는 협상 자세를 보여야 한다”며 “이번 한미 관세협상은 전남농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남도민과 농민을 대변해서 협상이 끝날 때까지 절박한 마음으로 농성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여수소방서, 장애인 보호시설 대상 전기화재 예방 위한 아크차단기 설치 협업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여수소방서(서장 서승호)는 2025년 7월 28일, 쌍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장애인 보호시설을 대상으로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아크차단기 설치 협업 행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화재 등 재난에 취약한 피난약자시설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여수시청, 한국전기안전공사, 쌍봉종합사회복지관 등 전기화재, 피난약자시설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추진됐다. 다솜누리 장애인주간보호센터를 포함한 총 22개소의 장애인 보호시설이 지원 대상에 포함되며, 지역사회의 안전망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행사에는 소방공무원 8명, 여수시청 관계자 5명, 한국전기안전공사 직원 15명, 복지관 관계자 22명 등 총 약 50명이 참여하여 여수소방서의 재난안전키트 전달, 화재감지기 설치 및 자동소화패치 부착 활동과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아크차단기 설치 작업이 진행됐다. 이를 통해 전기화재 예방과 피난약자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안전조치가 이루어졌다. 이번에 설치된 아크차단기는 전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아크(불꽃)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