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교육

산림청, 이거 아세요? 목재 따라 달라지는 종이의 질감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종이는 인류 역사 속 필수 재료입니다.

 

목재의 종류에 따라 질감과 특징이 달라진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나무에서 추출한 펄프로 만들어지는 종이!

종이 제조를 위해 키우거나 경제적 가치가 낮은 나무에서 펄프를 추출해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목재가 종이의 재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까요?

 

종이의 재료

· 펄프의 구분: 목재펄프, 비목재펄프, 재생펄프.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은 목재펄프로 나무의 종류에 따라 침엽수 펄프, 활엽수 펄프로 구분됩니다.

 

① 침엽수 펄프

· 목질: 목질이 연해서 연목재라고 불림.

· 섬유질의 길이 및 강도: 길고 강함.

· 주요 특성: 강도특성이 좋음(질기고 강함).

· 용도: 포장지, 쇼핑백지, 특수지 등.

 

② 활엽수 펄프

· 목질: 목질이 단단해서 경목재라고 불림.

· 섬유질의 길이 및 강도: 짧고 약함.

· 주요특성: 두껍고 평활성이 좋음(평평함).

· 용도: 인쇄용지, 화장지 등.

* 최종 사용 과정에서 강도가 요구되어 일정 비율의 침엽수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 있음.

 

나무가 품은 새하얀 캔버스, 목재가 결정하는 종이의 차이.

 

목재는 단순한 자원이 아닌 자연이 우리에게 준 소중한 선물입니다.

 

목재의 이야기가 종이에 담기듯, 종이에 여러분의 이야기를 함께 그려 나가 보아요.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유망성장기업 체계적 지원으로 지역경제 활력”…경상원 등 4개 기관, 공동 협력체계 구축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경기신용보증재단(이하 경기신보)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과 ‘경기도 유망성장기업 지원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4자 업무협약’을 29일 경기신용보증재단 본점 12층 대회의실에서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경기도 내 유망성장기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지역경제 성장 기반을 다지기 위해 추진된 것으로, 경상원 김민철 원장을 비롯해 경기신보 시석중 이사장, 일자리재단 윤덕룡 대표이사, 경평원 오후석 원장 등이 참석했다. 경상원은 청년층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 ‘청년 창업 원스텝’,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 ‘청년 푸드창업허브’ 등 청년 특화 창업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경상원의 청년 특화 사업에 참여한 청년창업기업은 경기신보로부터 보증상품을 연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일자리재단에서 선정하는 ‘일자리 우수기업’, ‘주4.5일제 도입기업’, 경평원의 ‘경기 재도전학교’ 수료생이 창업한 기업들도 유망성장기업으로 분류돼 경기신보의 보증 우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4개 기관은 각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