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충남

전남교육청, 여수 도원초병설유치원서 ‘유아 2030교실’ 수업공개

전남-호주 유아들, ‘함께 만든 숲 놀이터’ 같이 배운다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전라남도교육청은 11일 여수 도원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서 유아들이 생태환경과 디지털을 매개로 협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유아 2030교실’ 수업을 선보였다.

 

이번 공개수업은 ‘2024 글로컬 대한민국 미래교육 박람회’에서 주목받은 전남의 미래수업 모델이 유아교육 현장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리로, 도내 유치원 교사, 학부모, 교육전문직 등 관계자들이 참여해 미래교육의 변화를 확인했다.

 

이번 수업은 도원초병설유치원과 호주의 로즈유치원, 관기초병설유치원이 함께한 온라인 국제 공동수업으로, 유아들이 주도적으로 숲 놀이터를 설계하고 공유하는 미래형 교육 모델을 보여주었다.

 

수업은 유아의 놀이를 중심으로 생태환경교육과 디지털 활용, 국제 교류가 융합된 전남형 미래수업의 실현 사례로 주목받았다.

 

세 유치원은 ‘함께 만드는 숲 놀이터’를 주제로 그동안 호주 유아들과 함께 소통하며 준비한 자연물을 활용해 숲 놀이터를 꾸미고, 화상으로 연결된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었다.

 

이는 유아 단계에서도 언어와 문화를 넘어 협력·공감·창의적 사고를 기를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수업으로 평가를 받았다.

 

도원초병설유치원은 지난 9월부터 호주 로즈유치원, 관기초병설유치원과 정기적으로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해 공동수업을 이어왔다.

 

이번 공개수업은 그간의 교류 활동이 결실을 맺은 자리로, 유아들이 세계 친구들과 함께 만든 ‘숲 놀이터’를 완성하며 서로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존중하는 경험을 나눴다.

 

전남교육청은 이번 공개수업을 계기로 세계 여러 교육기관과 협력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미래지향적 놀이 환경을 기반으로 한 생태환경·세계시민·다문화교육 등의 미래수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온라인 공동수업의 지속 운영을 위해 교원 간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유치원별 교육활동 사례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수업 혁신 사례를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김대중 교육감은 “이번 국제 공동수업은 유아들이 생태환경과 디지털을 매개로 세계와 소통하며 배우는 생생한 교육 현장이었다”며 “전남의 모든 유아가 자연을 사랑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 2030교실은 올해 유아 51개, 초등 43개, 중등 39개 등 총 133개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공모를 통해 유아 30개, 초등 40개, 중등 40개 등 총 110개 내외를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파주교육지원청부설 영재교육원, '생각하는 영재, 파주고와 함께하는 AI체험캠프' 성료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은 지난 11월 8일 파주고등학교 체육관에서 '생각하는 영재, 파주고와 함께하는 AI체험캠프'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AI 체험캠프는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이 주관하고 파주고등학교가 협력하여 추진했고, 인공지능(AI)의 원리와 문제 해결 과정을 직접 체험하며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탐구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파주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의 학생과 파주고등학교 학생들이 함께하는 협력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영재교육대상자 30명이 참여했으며, 파주고등학교 학생들이 각 부스의 멘토로 참여해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캠프는 총 6개의 AI 체험 부스로 구성 됐다.‘AI 균형의 달인’,‘AI 암호 해독’,‘비트독 AI 작전실’ 등은 AI의 원리와 문제 해결 중심의 활동으로, 학생들이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실험과 탐구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고, 이어‘로봇FC: AI 챔피언스리그’,‘AI 탐험, 오른손 규칙!’,‘알파미니와 함께하는 AI 뮤직쇼’등은 감정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AI 표현 활동으로, 학생들이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