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충남

‘2025 전남 콘텐츠페어’ 31일 장흥 빠삐용zip에서 개최

‘남도K-컬쳐, 콘텐츠를 더+하다’라는 슬로건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2025 전남 콘텐츠 페어’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3일간 옛 장흥교도소 빠삐용zip에서 개최된다.

 

전라남도와 장흥군이 주최하고 (재)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 전남 콘텐츠 페어는 ‘남도-K컬쳐, 콘텐츠를 더하다’라는 주제로 펼쳐진다.

 

전남 콘텐츠 페어는 남도지역의 문화콘텐츠 산업을 한자리에 모아 체험할 수 있는 종합 콘텐츠 축제이다.

 

이번 페어는 과거 억압과 감금의 공간이었던 교도소를 혁신적이고 독특한 문화 콘텐츠 향유 공간으로 재탄생시켜 새로운 문을 연 옛 장흥교도소 빠삐용zip에서 개최된다.

 

이를 통해 전남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확산을 도모하고 군민뿐만 아니라 도민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행사는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웹툰·메타버스·게임·영상 등 다양한 장르의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 토크콘서트, 창작자 네트워킹 등이 펼쳐질 예정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콘텐츠 전시존 △체험존 △대학존 △홍보관이 있으며 관람객 참여프로그램으로는 빠삐용zip 교도소 24시 체험, '영화' 오징어게임에서 유행한‘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 레디액션!, 플리마켓 등이 준비되어 있다.

 

콘텐츠 전시존은 지역 기업 창작·제작 콘텐츠를 전시 및 체험할 수 있는 7개 존으로 꾸며져 웹툰, 스토리, 미디어아트, 메타버스,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체험존에서는 전남과학대 e스포츠학과와 연계한 방탈출과, 더빙체험을 즐길수 있으며, 대학존에는 목포대, 청암대, 전남과학대, 순천대 등 여러 콘텐츠학과들의 알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첫째날에는 하이라이트인 개막식과 더불어, 명사들의 초청 강연이 이어진다.

 

인기 웹툰 '미생,파인'의 윤태호 작가가 콘텐츠 기획과 창작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고(10/31 금 15:30), 게임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더호라이즌(주) 김유석 대표(10/31 금 13:00)의 강연도 예정되어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문병로 교수는 ‘AI 분야 앞으로 더 커지는 이유’를 주제로 인공지능과 콘텐츠 산업의 미래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우수콘텐츠 공모전, e스포츠대회, 문학탐방캠프, 닌텐도게임 가족캠프 등 꿈과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어린이, 청소년부터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을 한곳에서 보고 즐길 수 있다.

 

김성 장흥군수는 “전남 콘텐츠 산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조명할 이번 2025 전남 콘텐츠 페어를 새로운 문을 열고 자유와 해방, 창조적 영감을 불어넣은 (옛)장흥교도소 빠삐용zip에서 개최하게 된 것을 몹시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페어가 지역민들의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안성교육지원청, 이주배경학생과 함께하는 소통의 장, ‘안성한국어랭귀지스쿨 정담회’ 열려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은 2025년 10월 24일 로뎀나무국제대안학교에서 ‘안성한국어랭귀지스쿨(A-KLS, 안성한글나루한국어공유학교) 교육장 정담회’를 개최하여 이주배경학생과 교육지원청, 위탁교육기관이 함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정담회는 다문화·중도입국학생의 학습 적응과 진로지도를 위한 현장 중심의 소통형 자리로, 교육장 인사말을 시작으로 기관 운영 성과 발표, 특성화 교육과정 소개, 학생대표의 소감 발표, 질의응답이 이어졌으며, 교육장과 학생 간 대화 시간에는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과 진로 희망에 대한 생생한 의견이 오갔다. 안성교육지원청은 이번 정담회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성과를 점검하고, 교육지원청과 위탁교육기관 간 협력 강화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한국어교육 지원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현장 피드백을 반영해 2026학년도 운영계획과 정책 개선 방향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정우 교육장은 “이번 정담회는 학생, 교사, 교육청이 함께 목소리를 나누며 성장의 방향을 모색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이주배경학생이 언어와 문화를 넘어 자신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