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교육

농촌진흥청, 가루쌀 철저한 육묘 관리로 건강한 모 키우세요.

온탕 소독 지양하고 적정 파종량 준수… 물주는 횟수 1~2회 적당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농촌진흥청은 가루쌀 육묘 시기를 앞두고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올바른 종자 소독 방법과 고온기 육묘 관리 요령을 소개했다.

 

지난해 벼가 여물 때 기온이 높고, 비가 자주 내려 종자 품질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루쌀 모는 6월 중순 기온이 높을 때 자라기 때문에 고온 피해를 볼 수도 있다. 따라서 가루쌀 재배 지침(매뉴얼)에 따라 적정 파종량을 준수하고 고온기 육묘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종자 소독 철저= 약제소독은 30~32도(℃)에서 1~2일 실시하고, 소독 후 맑은 물로 2~3회 씻는다. 온탕 소독은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지양한다. 온탕 소독을 해야 하는 친환경 단지는 파종량을 5~10% 늘린다.

 

적정 파종량 준수= 적정 파종량은 마른 종자 기준으로 모기르기 상자(모판)당 약 200g이다. 벼알이 잘 여물지 않거나 수발아(이삭발아)가 발생한 볍씨는 발아율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10% 늘려 약 220g을 파종한다.

 

고온 육묘 관리= 모를 기를 때 고온 피해를 줄이려면, 바닥 육묘가 알맞다. 선반 육묘는 모가 웃자랄 수 있고, 매트 형성이 어려울 수 있어 지양한다. 바닥 육묘 기간은 8~12일 정도이다. 시설(하우스)에서 모를 기를 때는 통풍에 신경 써 25도 이하로 유지되게 관리한다. 물주는 횟수는 하루에 1~2회가 적당하다. 물을 너무 자주 주거나 상시로 물에 담그면 뿌리가 잘 자라지 않고 모가 웃자랄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가루쌀 품종 ‘바로미2’의 파종과 육묘 관리 요령을 담은 안내서(리플릿)를 제작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선정한 전국 151개 가루쌀 생산단지와 각 단지가 속해있는 7개 도 농업기술원, 63개 시군농업기술센터에 배부한다. 가루쌀 생산단지에는 적정 파종량을 준수할 수 있도록 ‘파종량 계량컵’도 배부한다.

 

농촌진흥청 재배생리과 장재기 과장은 “가루쌀 ‘바로미2’ 육묘 관리 요령을 준수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라며, “본격적인 가루쌀 육묘가 시작되는 6월 중순부터 안정적인 파종·육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규단지 중심으로 현장 기술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한일 우호 60년, 미래 60년 함께 여는 발걸음" 민단쇼난중부지부·쇼난일한친선협회 보령시 방문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보령시는 자매도시인 일본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민단쇼난중부지부와 쇼난일한친선협회 관계자 25명(단장 이신행)이 10월 17일부터 18일까지 1박 2일 일정으로 보령시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보령시는 17일 시청 민원동 회의실에서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민단쇼난중부지부·쇼난일한친선협회 방문단 환영 간담회’를 개최하고 양국 간 민간 교류 확대와 우호 증진의 뜻을 함께 했다. 이번 방문은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고 양국 시민 간 교류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김동일 보령시장, 최은순 시의회 의장, 이신행 민단쇼난중부지부 이사(단장) 및 기무라 미쓰오 쇼난일한친선협회 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이번 방문이 양 도시의 오랜 우정과 신뢰를 더욱 굳건히 하고 교류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민간 중심의 한일 우호 교류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방문단은 간담회 후 무창포해수욕장, 죽도 상화원 등 보령의 주요 관광지를 둘러본 뒤 서울로 이동해 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