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문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9월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초가을이 시작되는 9월에도 위생관리 꼭 신경쓰세요!

7~9월에 집중 발생하는 식중독 그중 ‘9월’에 가장 많이 발생!

2023년 식중독 발생현황 분석 결과, 9월에 1,590명, 7월에 1,563명, 8월에 977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점(발생건수 : 199건) 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주요 원인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2023년 발생한 식중독 원인 병원체'

1위 노로바이러스 62건

 

· 오염 경로 : 오염된 생굴 또는 지하수 등을 섭취했을 때 발생,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 등 사람 간 접촉으로 전파

· 예방법 : 익혀먹기, 개인위생 관리 중요

 

2위 살모넬라 48건

 

· 오염 경로 : 오염된 달걀껍질에서 다른 식품으로 교차 요염 시 발생

· 예방법 : 달걀 만진 후 반드시 세정제 등을 사용해 손을 깨끗이 세척

 

3위 병원성대장균 46건

 

· 오염 경로 :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생채소나 육류에서 많이 발생

· 예방법 :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 섭취

육류는 중심온도 75℃, 1분 이상 충분히 가열 조리

 

코로나19 유행 시기 식중독 발생이 잠시 줄었으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지난해 식중독 발생건수가 코로나19 이전 수준만큼 증가했습니다.

 

지속된 더위로 여전히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은 만큼 식중독 예방수칙을 꼭 지켜주세요!

손씻기, 보관온도, 구분사용, 끓여먹기, 익혀먹기, 세척·소독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안성교육지원청, 이주배경학생과 함께하는 소통의 장, ‘안성한국어랭귀지스쿨 정담회’ 열려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은 2025년 10월 24일 로뎀나무국제대안학교에서 ‘안성한국어랭귀지스쿨(A-KLS, 안성한글나루한국어공유학교) 교육장 정담회’를 개최하여 이주배경학생과 교육지원청, 위탁교육기관이 함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정담회는 다문화·중도입국학생의 학습 적응과 진로지도를 위한 현장 중심의 소통형 자리로, 교육장 인사말을 시작으로 기관 운영 성과 발표, 특성화 교육과정 소개, 학생대표의 소감 발표, 질의응답이 이어졌으며, 교육장과 학생 간 대화 시간에는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과 진로 희망에 대한 생생한 의견이 오갔다. 안성교육지원청은 이번 정담회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성과를 점검하고, 교육지원청과 위탁교육기관 간 협력 강화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한국어교육 지원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현장 피드백을 반영해 2026학년도 운영계획과 정책 개선 방향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정우 교육장은 “이번 정담회는 학생, 교사, 교육청이 함께 목소리를 나누며 성장의 방향을 모색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이주배경학생이 언어와 문화를 넘어 자신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