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충남/의회

안양시의회 김정중 의원, 제306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 “지역 정체성인 ‘안양학’, 시민과 함께 바로 시작해야”

조례만 있고 정책은 없어... 직무유기와 다를 바 없다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안양시의회 김정중 의원(국민의힘, 안양1·3·4·5·9동)은 제30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안양시 안양학 연구 및 진흥에 관한 조례'가 제정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기본계획조차 수립되지 않은 채 사실상 사문화된 현실을 강하게 지적했다.

 

김 의원은 “안양학 조례는 안양의 역사와 문화, 정체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지만, 시는 지난 2년간 아무런 추진도 하지 않았다”며 “이는 조례만 있고 정책은 없는 전형적인 형식 행정의 민낯”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시가 예산 부족을 이유로 들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예산은 의지의 문제다. 행정이 의지 부족을 이유로 멈춰선다면 이는 직무유기와 다를 바 없다”고 질타했다.

 

현재 문화관광과에서 안양학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나, ‘안양시사’는 안양문화원에 위탁해 진행 중이고, ‘안양학’은 실질적인 계획과 추진이 전무한 상태다. 그는 “담당자 한 명이 형식적으로 업무를 떠안고 있을 뿐 조직과 시스템이 뒷받침되지 않아 행정 공백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수원시는 지역학센터를 중심으로 포럼과 토론회를 열고, 화성시는 학술세미나를 통해 시민과 함께 지역 정체성을 연구하고 있다”며 “반면 안양시는 전담 조직도, 인력도, 시민 참여 프로그램도 없다. 일부 대학 교양 강좌를 추진 실적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이는 보여주기식 행정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안양학이 진정한 도시 정체성 정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행정이 주도하는 수동적 구조를 벗어나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그는 안양학 전담 조직 또는 지역학센터의 조속한 구성과 시민이 주체가 되는 지역학 기반 마련을 강력히 요구했다.

 

끝으로 그는 “조례는 선택이 아니라 행정의 의무이며, 시민과의 약속이다. 안양시가 변명이 아닌 실행으로 응답해야 한다”며, “이제는 살아 있는 안양학, 시민이 함께 만드는 안양학으로 안양의 새로운 100년을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김정희 전남도의회 교육위원장, 전남온라인학교 개교식서 미래교육 비전 제시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김정희 전남도의회 교육위원장은 10월 23일 목포여자고등학교에서 열린 ‘전남온라인학교 개교식’에 참석해, 전남교육이 나아갈 미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의 의의를 강조했다. 전남온라인학교는 전국 광역시·도 가운데 최초로 구축된 도 단위 온라인 학습 플랫폼으로, 전남의 넓은 지리적 특성과 도서·농산어촌 지역의 교육 여건을 보완하기 위해 설립됐다. 현재 인공지능 수학, 비판적 사고, 미적분, 경제 등 36개 쌍방향 실시간 강좌를 운영하며, 300여 명의 학생이 원격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날 김정희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전남온라인학교는 단순한 온라인 학습공간이 아니라, 전남의 고등학생들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동일한 교육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만든 혁신의 결실”이라며 “이는 교육의 지역적 한계를 넘어 진정한 ‘배움의 평등’을 실천하는 전남교육의 새로운 도전”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전남도의회 교육위원회는 2030미래교실로 대표되는 미래형 교육 생태계 조성과 함께 이번 전남온라인학교 개교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한계를 넘어서는 학습 기반 확충을 꾸준히 지원해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