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국토교통부, 기술실증 지원과 강소기업 육성으로 스마트건설 중소기업 성장 이끈다

스마트건설 기술실증 지원사업 15개 선정… 사업 당 최대 1,500만원 지원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국토교통부는 스마트건설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추진 중인 스마트건설 기술실증 지원사업 15개를 선정하고, 미래 스마트건설 분야를 선도할 20개 기업을 2025 스마트건설 강소기업으로 선정했다.

 

스마트건설 기술실증 지원사업은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회원사들과의 연계를 통해 스마트건설 기술·제품·서비스를 보유한 중소기업이 대·중견기업의 실제 건설현장에서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실증 비용을 최대 1,500만원까지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대형 건설사들이 희망하는 기술들을 조사하여 공모하는 수요 기반형 유형을 신설하여 수요자의 실증 실효성도 강화했으며, 수요 기반형 7개와 자율 제안형 8개로 총 15개를 선정했다.

 

선정된 기술들은 실증 지원 외에도 11월 5일부터 7일까지 개최 예정인 스마트건설 엑스포에서 기술 전시 등 홍보 지원, 사업화를 위한 투자유치 지원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기술실증 지원사업의 주요사례는 다음과 같다.

 

(Non-GPS 위치 제어 시스템) 위성과 통신이 어려운 실내 및 지하에서 드론과 로봇들 간 전파통신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기술

 

(고교각 비파괴시험 모듈)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교각을 오르내릴 수 있는 로봇에 비파괴 콘크리트 시험 모듈을 탑재하여 원격으로 유지관리

 

(드론 스테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구축) 섬 또는 외곽 공사현장 등에서 무인 드론 스테이션을 활용하여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분석

 

그 외에도 타워크레인 전용 스마트 안전 시스템, 외벽도장 자동로봇의 건물 높이별 실증, 전기차 화재 신속 대응을 위한 스마트 스프링클러 시스템, BIM 기반 플랜트 설계 최적화 등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선정․지원사업은 스마트건설 기술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의 성장을 집중 지원하는 사업으로, ’23년부터 매년 20개씩 선정하고 있다.

 

선정된 기업은 건설공사정보시스템(KISCON)에 강소기업으로 공시되며, 시제품 제작 지원(최대 3천만원), 투자전문기관의 전문 컨설팅 등 향후 3년간(’25.8~’28.8) 역량강화, 금융지원, 시장진입 등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8월 28일 오전 건설기술인협회에서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지정서를 수여하고, 애로사항 청취 및 기업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강소기업 간담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2025 스마트건설 강소기업으로 지정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고레로보틱스)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현장 자재운반 자동화 서비스를 통해 비용과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안전사고 예방

 

(큐픽스) 360도 영상 기반의 공간 데이터를 AI로 자동 처리하여 3D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고 시간을 포함한 4D로 관리할 수 있는 공간지능 플랫폼으로 전주기 시공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

 

(마젠타로보틱스) 실내 모서리, 천정, 현장 시설 등 객체 인식이 가능한 자율 도장 로봇을 통해 안전한 작업 환경 구축하고 인력난 해소

 

그 외에도 건물에너지 통합 관리 플랫폼, 도로·교통안전시설물 무인시공장비 등을 대표기술로 하는 기업들을 강소기업으로 선정했다.

 

국토교통부 김태병 기술안전정책관은 “선정된 기술들이 상용화되고, 강소기업들이 성장하여 건설산업을 이끌어가길 바란다”라며,“실증 지원과 강소기업 육성뿐만 아니라 창업 지원, R&D, 얼라이언스 운영 등 전주기 지원을 통해 스마트건설 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