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지난 7월 22일 전라남도의회 제392회 임시회 도정 및 교육행정 질문답변에서 김주웅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전남도가 전남기록원의 부지 용역을 추진하면서 보여준 총체적 난맥상을 폭로하며 열린 행정을 재차 촉구했다.
‘전남기록원’은 약 645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최근 전남도는 장흥군을 최종 건립지로 선정한 바 있다.
그러나 건립지 발표 이후 각종 언론을 통해 자문위원회 권고를 무시한 채 부지가 선정됐다는 의혹들이 제기됐고, 도민들 사이에서도 절차적 공정성과 투명성을 둘러싼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김주웅 의원은 도정질문을 통해 용역과정에서 발생한 ▲4순위 장흥군의 최종건립지 선정 배경, ▲용역사 전문책임연구원 부재 문제가 계약 해지가 아닌 용역비 감액으로 이행된 과정, ▲용역 결과에 대한 전남도의 신뢰성 미검증, ▲공론화 없는 내부 전략회의 방식 등을 낱낱이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용역사를 통해 직접 확보한 데이터를 토대로 검토해 본 결과, 신뢰도 수치는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으며, 전체 용역 결과가 구조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면서, “결과적으로 전남도는 검증없는 용역 결과를 근거로 수백억 원이 투입된 공공사업 부지를 결정한 셈”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김 의원은 “엉터리 용역과 암실 행정, 무시된 전문가 평가, 부지 선정과정 불분명 등 총체적 문제였다”며, “전남도 관계자들이 용역 결과를 점검하지 않은 사실은 공직자들이 최소한의 확인 절차조차 지키지 않았다는 반증이다”며 심각한 우려과 실망을 표현했다.
명창환 행정부지사는 “용역기관의 전문가를 통해 기록원 입지가 선정된 만큼 큰 흠결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용역 신뢰도 수치 등은 다시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김주웅 의원은 이날 도정 및 교육행정 질문답변에서 ▲전남교육청 교직원 주택임차기금 운영 실태, ▲국립목포대-전남도립대 통합 절차 과정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는 등, 전라남도 주요 현안에 대한 깊이 있는 대안 제시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