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의회, 제198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중 시정질문

- 시정 전반에 대한 현안 질의 및 대안 제시로 견제와 비판 기능 강화 -

▲화성시의회 원유민 의장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화성시의회(의장 원유민)는 9일 오전 10시, 제198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임채덕, 김효상, 구혁모, 배정수 의원이 차례로 시정질문에 나섰다.

 

첫 질문에 나선 임채덕(국민의힘, 반월․병점1․병점2․진안) 의원은 ▲홍난파 생가 복원 ▲기준인건비 등 조직 및 인력운영 ▲코로나19 재난대책 ▲개방형직위 부서장 운영 ▲문화유산 활용에 대해 질의했다.

 

▲화성시의회 임채덕 의원

 

임 의원은 수년간 답보상태인 홍난파 생가 복원사업의 향후계획에 대해 질의하고, 기준인건비를 준수한 인력운영 방안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추가 재난지원금 등 시 차원의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앞서 임 의원은 개방형직위 부서장의 잦은 교체에 따른 정책의 연속성 결여 등을 우려하며 개방형직위 운영의 타당성 문제를 제기하고, 융건릉 앞 광장 조성, 화성 독립운동 역사문화공원 및 기념관 조성 등 문화유산 활용사업의 미흡성을 지적하면서 문화유산을 활용하고 시민의 문화향유권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화성시의회 김효상 의원

 

이어 김효상(더불어민주당, 반월․병점1․병점2․진안) 의원은 ▲태안3지구 개발계획 및 공원조성계획 ▲병점역 일원 동부권 개발비전과 관련해 질의했다.

김 의원은 태안3지구 개발의 당초 계획을 지적하며 융릉 제2청룡 지형 복원 및 보전, 역사적인 문화유산과 조화되는 콘텐츠 개발, 한옥마을 활용방안, 전담조직신설 등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김 의원은 병점역 일원 동부권의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따른 기반시설 문제와 병점복합타운 조성에 따른 원도심의 슬럼화 현상 등 문제점을 지적하며 동부권의 밀도 있는 도시개발과 광역교통체계 개선, 문화공간 확보 등 정주여건의 기반마련을 촉구하고 동부권 주민들을 위한 특화발전과 균형발전을 당부했다.

 

구혁모(국민의당, 동탄4동~동탄8동) 의원은 ▲무상교통 확대시행에 따른 재정부담 ▲사회적경제에 관한 정책방향 ▲공직자의 비윤리적인 행동에 대한 경미한 처벌 ▲코로나19 확진 관련 정보공개에 대한 화성시의 기준에 대해 질의했다.

 

구 의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세수가 감소된 상황에서 무상교통 전면 확대 시행에 따른 재정부담, 내부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된 사회적경제에 대한 정책방향, 그동안 의회에서 드러난 공직자의 비윤리적인 행동에 대한 경미한 처벌과 관련하여 시장의 생각을 질의했다.

 

또한 구 의원은 코로나19 확진자 정보공개에 대한 화성시 기준에 대해 질의하고, 시민의 알권리 충족을 위해 정보공개 확대의 필요성를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시정질문에 나선 배정수(더불어민주당, 동탄4동~동탄8동) 의원은 화성시의 난개발로 인한 경관 훼손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정확한 현황 파악과 도시정비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개발대책과 계획수립을 위한 연구의 미흡성을 지적하면서 현재까지의 난개발 정비현황과 향후 방지대책을 주문하고 화성시가 첨단도시로 거듭나 줄 것을 당부했다.

 

화성시의회는 오는 17일, 제3차 본회의를 열어 2021년도 본예산안 승인 등을 처리하고 제198회 정례회 의사일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화성특례시의회-ESG메세나 공동주최, '움직이는 미술관' 11월 초대전 유미희 작가 초대전 《요나의 고래》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화성특례시의회와 ESG메세나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문화예술 프로젝트 ‘움직이는 미술관’이 11월, 유미희 작가의 초대전 《요나의 고래》로 시민들을 맞이한다. 이번 전시는 11월 3일부터 28일까지 화성특례시의회 1층 로비에서 개최되며,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성경 속 요나의 이야기를 오늘의 시선으로 재해석해,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두려움과 회개, 그리고 구원의 가능성을 예술적 언어로 풀어냈다. 작가는 요나가 고래의 뱃속에서 맞이한 어둠과 침묵의 시간을, 현대 도시인들이 겪는 고독과 성찰의 과정으로 치환한다. 작가에게 ‘고래’는 단순한 생명체가 아니라, 복음을 품고 어둠을 통과하는 빛의 매개자이며, 요나가 향했던 ‘니느웨’는 신앙의 언어와 도덕적 감각을 잃어버린 현대 도시의 은유로 제시된다. 작품 속 고래는 심연의 어둠을 머금고 있으나 그 안에는 새 생명의 빛이 깃든다. 유 작가의 붓끝에서 고래는 두려움의 상징이 아닌 회복과 재생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며, 요나의 서사는 우리 각자의 내면에서 되살아나는 회개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유미희 작가는 경기미술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