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월드컵공원에 노을공원시민모임과 제로웨이스트 정원조성

월드컵공원 내 숲가꾸기 등 다양한 협력 활동 위한 상호간 업무협약 일환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서울시 서부공원여가센터는 사단법인 노을공원시민모임과 업무협약을 맺고 월드컵공원 내 나무심기 등 제로웨이스트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활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에 첫 번째 프로그램으로 7월 5일 ‘정원 만들기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사)노을공원시민모임은 2011년 만들어진 공익법인으로, 월드컵공원을 중심으로 매립지 사면에 나무를 심고 관리하는 나무자람터 운영, 씨앗부터 키우는 숲만들기, 공원 내 생물친화적 환경 조성 등의 다양한 문화교육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5월 (사)노을공원시민모임과 상호간 협약을 체결하고 노을공원에서 환경생태공원을 위한 식재 및 관리와 시민참여형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사업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

 

첫 번째 협력 활동으로 7월 5일 노을공원 상부(도시농부정원)에서 제로웨이스트 가드닝 ‘공공정원@노을공원’을 진행했다. 정원조성은 (사)노을공원시민모임과 시민들이 함께 했으며 댑싸리와 구절초, 청화쑥부쟁이 등 국화과 식물과 허브류 등을 식재했다.

 

식재된 댑싸리는 향후 싸리비 등 자연물 공예품으로, 국화류는 건조하여 차로 만들 예정이며, 허브류는 누름꽃과 화훼장식 재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이는 시민과 함께 만드는 공공정원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버리지 않고 새활용하여, 월드컵공원을 자원순환하는 지속가능한 공원으로 보전하기 위함이다.

 

(사)노을공원시민모임과 함께 진행하는 ‘숲가꾸기 프로그램’은 12월까지 수시로 진행될 예정이며 숲가꾸기를 희망하는 기관 또는 단체가 신청할 수 있다.

 

이외에도 9월~10월 중 2회 ‘나무자람터 생태 해설’이 시범운영된다. 노을공원 일대에서 진행되며 월드컵공원 조성 배경과 나무자람터에 있는 식물상에 대한 해설과 함께 나무 심기 키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민 누구나 접수 가능하며 회차당 20명 내외로 진행될 예정으로 8월 말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일정과 내용은 향후 정원도시서울 누리집에 개제될 예정이다.

 

나무자람터는 빗물을 모으고, 씨앗부터 키워서 나무로 자라나게 하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간이다.

 

향후 월드컵공원에서 진행될 (사)노을공원시민모임 간 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정원도시 서울(서울의 공원) 누리집과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

 

신현호 서부공원여가센터 소장은 “앞으로도 서울시는 월드컵공원에서 (사)노을공원시민모임과 함께 숲가꾸기, 생태 해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며 “이를 통해 월드컵공원이 시민과 함께 환경생태공원이자 지속 가능한 생태공원으로 보다 거듭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파주교육지원청, '학교가 안전하고 신뢰로 성장하는 배움터로'교(원)장 성(장)공(감) 아카데미 개최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은 7월 10일 두원공과대학교 철산관(레이첼호)에서 관내 초․중․고․특수학교 교(원)장 117명을 대상으로 ‘미래를 여는 리더십, 교(원)장 성(장)공(감) 아카데미’를 개최했다. 이번 교(원)장 성공아카데미는 ‘배움이 안전하고 신뢰로 성장하는 학교를 만들다’를 주제로 ▲ 2025 교육활동보호 ▲ 성인지 감수성과 리더십 ▲ 학생맞춤형통합지원체제 구축의 이해 ▲ 학교폭력 예방 및 화해중재의 교육적 의의 등의 내용으로 진행하여 학교경영자로서 교(원)장이 갖추어야 할 실천 역량을 강화하고 교육공동체의 회복적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한 방향을 함께 모색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다.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 전선아 교육장은 “교(원)장이 변화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안전과 신뢰를 바탕으로 교육공동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학교문화를 만들어가기를 바란다”며, “파주교육지원청은 앞으로도 학교 현장 중심의 학교경영자 전문성과 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다양한 연수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경기도파주교육지원청은 경기미래교육과 꿈․함․성 파주미래교육이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