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문화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 지구를 지켜요!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플라스틱 종류, 이렇게나 많았어?

 · PE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투명하고 가벼운 성질

  - 생수병, 과일 포장 트레이

 

 

 ·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 우유병, 세제 용기

 

 ·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 가공이 용이하고 유연함

  - 화장품 튜브

 

 · PP (폴리프로필렌)

  -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좋음

  - 비료 사료용 포장재, 세제 용기

 

 · PS (폴리스티렌)

  - 가벼운 무게로 휴대성이 좋음

  - 요구르트병

 

 · OTHER (All Other Resins)

  - 2가지 이상의 재질이 합성된 플라스틱 또는 기타 플라스틱 재질

  - 치약 튜브, 화장품 용기, 과자 봉지

 

 · 무색페트병

 ※ TIP. 무색페트병은 별도 분리배출 표시(‘무색페트’)가 있으며, 유색페트병과 섞이지 않도록 따로 배출해요!

 

 

 플라스틱 줄이는데 도움되는 정책

 

①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에서 분리배출요령 (플라스틱 용기류), FAQ (‘플라스틱’ 검색 후 확인), 품목 검색 (국자, 그릇, 도마 등), Q·A (궁금한 내용 직접 질문)을 확인할 수 있어요.

 

플라스틱을 비롯해 종이, 캔, 유리병 등의 분리배출 방법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답니다!

 

 

② 탄소중립포인트(카본페이)

플라스틱을 줄이면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 것 아세요? 친환경 활동을 실천하고, 인센티브*도 챙겨보세요. 텀블러·다회용컵을 사용하면 개당 300원, 일회용컵을 반환하면 개당 200원, 리필스테이션을 이용하면 회당 2000원을 준답니다.

 

 * 연간 포인트 한도 7만원(현금이나 참여기업·카드사의 포인트)

 

③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표시제

폐플라스틱으로 생산된 재생원료를 쓴 제품·용기에 사용 비율을 표기하는 제도입니다.

 

 * 표시기간 3년, 대상에 따라 최소 10~20% 표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제품을 구매하고, 환경을 위한 소비에 함께 해요!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경상원,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수원 왕갈비·남양주 농특산물 활용해 경쟁력 높여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지난 13일 양평 본원 대교육장에서 ‘2025년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2차 선정지 2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은 상권별 차별화된 특화상품을 육성해 전통시장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설명회에서는 전반적인 사업 실무와 집행 절차 등을 안내했다. 경상원은 지난 5월 1차 모집공고로 ▲중동사랑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신규 밀키트 개발) ▲죽산시장(곱창거리 특화 밀키트 개발) ▲의정부역지하상가(먹거리·마실거리 특화상품 개발) ▲통복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건강 조청 개발) 총 4개소를 선정했다. 이어 지난달 2차 모집공고로 ▲수원 구매탄시장 ▲남양주장현 전통시장 총 2개소를 추가 선정하고 개소당 1억 원(도비 100%)을 투입해 신규 상품개발, 기존 상품 활성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원 구매탄시장은 대표 콘텐츠인 수원 왕갈비 등을 활용한 먹거리 개발 3종을, 남양주장현 전통시장은 농특산물을 활용한 저염·저당 건강 떡 개발 4종을 상권 맞춤형 특화상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