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문화

교육부, 학교 밖 학생들을 위한 학습지원 ‘꿈이음’

의무교육단계 미취학·학업중단학생을 위한 학습지원 사업 안내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꿈이음’이란?

 

의무교육단계의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학교 밖에서 다양한 학습프로그램과 학력 취득의 기회를 제공

*초·중학교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을 취득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어요!

 

온라인 학습 지원 프로그램은?

 

· 방송중 온라인 프로그램

방송통신중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교과교육 프로그램(인성과목을 제외한 모든 교과 수록)

 

· 꿈이음 초등 EBS 온라인 프로그램

초등학교 단계 학습자를 위한 프로그램(교과교육+코딩, 다문화 대상 프로그램 등)

 

오프라인 학습 지원 프로그램은?

 

· 시도별 프로그램

시·도 교육감이 학습자의 학력인정을 위해 설치 또는 지정한 프로그램(꿈드림, 친구랑 등)

 

· 학교 밖 학습경험

정규 교과과정 및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제외한 교육적인 활동 (검정고시 과목합격, 자격증 취득 등)

 

· 평생학습계좌제

국민의 다양한 학습경험을 개인별 계좌에 누적·관리하고, 그 결과를 학력·자격 등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제도

 

학습자 이용 자격 및 절차는?

 

[이용 대상]

Ⅴ 대한민국 국적이며, 국내 거주 중인 사람

Ⅴ초등학교 또는 중학교에 입학하지 않았거나, 학업을 중단하여 학적이 정원 외로 관리되는 사람

Ⅴ초등학교 : 7세가 되는 해의 6월 1일 이후 ~ 24세 이하

Ⅴ중학교 : 13세가 되는 해의 6월 1일 이후 ~ 24세 이하

 

[이용 절차]

① 학습자 등록 및 승인

②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프로그램 이수

③ 학력인정평가 신청

 

배움의 길이 활짝! 내일의 꿈이 반짝!

꿈이음에서 꿈을 이어 나가보아요!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경상원,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수원 왕갈비·남양주 농특산물 활용해 경쟁력 높여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지난 13일 양평 본원 대교육장에서 ‘2025년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2차 선정지 2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은 상권별 차별화된 특화상품을 육성해 전통시장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설명회에서는 전반적인 사업 실무와 집행 절차 등을 안내했다. 경상원은 지난 5월 1차 모집공고로 ▲중동사랑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신규 밀키트 개발) ▲죽산시장(곱창거리 특화 밀키트 개발) ▲의정부역지하상가(먹거리·마실거리 특화상품 개발) ▲통복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건강 조청 개발) 총 4개소를 선정했다. 이어 지난달 2차 모집공고로 ▲수원 구매탄시장 ▲남양주장현 전통시장 총 2개소를 추가 선정하고 개소당 1억 원(도비 100%)을 투입해 신규 상품개발, 기존 상품 활성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원 구매탄시장은 대표 콘텐츠인 수원 왕갈비 등을 활용한 먹거리 개발 3종을, 남양주장현 전통시장은 농특산물을 활용한 저염·저당 건강 떡 개발 4종을 상권 맞춤형 특화상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