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회 봉양순 시의원, “시민건강 위협하는 노후 하수관로, 선제 정비 시급”

서울시 하수관로 55.5%가 30년 이상 노후...안전 관리 시급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은 10일 열린 2025년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물순환안전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하수관로의 심각한 노후화 실태를 지적하고, 도시기반시설로서의 안전관리와 위생 대책 강화를 촉구했다.

 

서울시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시 하수관로 총연장 10,866km 중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관로는 6,032km (55.5%)에 달하며 50년 이상 경과된 관로도 30%가 넘는다. 이러한 노후관로가 최근 지반침하, 악취·세균 확산, 도심 설치류 서식지화 등 복합적인 도시위험을 유발하고 있다.

 

봉양순 의원은 “하수관로는 시민 누구나 매일 이용하는 공공시설과 연결된 도시기반시설이며, 단순한 하수처리 기능을 넘어서 도시 위생과 안전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노후 관로가 절반 이상인 상황에서 방치하거나 방제 공백이 이어지면 시민 건강과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설치류 출몰 민원 급증과 함께, 폭우·폭염 등 기후위기 상황에서 하수관로의 기능 저하가 더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악취 대응이나 쥐 퇴치는 사후방역이 아니라 노후 하수관로 정비를 통한 선제적 차단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봉 의원은 “하수관로 정비계획 수립 시 ‘위생안전’을 별도 지표로 설정해 관리하고, 보건·방재 부서와의 정기 협업 체계를 통해 감염병 매개환경을 구조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정성국 국장)은 “노후 하수관로가 도시 위생의 사각지대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관로 정비 시 설치류 유입 차단을 고려한 설계를 확대하고, 위생안전 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관련 부서와의 협업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봉 의원은 “지하 기반시설의 노후화는 시민 안전과 직결된 도심 재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며, “하수 인프라에 대한 실질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으로 시민의 건강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