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118개 학교와 학교시설 개방 추가 업무협약 체결

시·용인교육지원청…15일 협약 체결 학교 118곳 포함한 총 152개 학교와 체육시설 개방 합의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용인특례시는 15일 용인교육지원청, 지역 내 118개 초·중·고등학교와 학교시설 개방을 위한 업무협약을 추가 체결했다. 

 

협약식은 용인미디어센터에서 열렸으며, 이상일 용인특례시장과 김희정 용인교육지원청 교육장, 지역 초·중·고·특수학교 교장 70여명이 참석했다.

 

이상일 시장은 “학교 측에서는 시설 개방과 관련해 여러가지 어려움과 부담이 있을텐데도 시민들을 위해 시설 개방이란 결단을 해 주신 교장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시민들이 학교 시설을 이용할 경우 학생들 교육을 위한 시설인 만큼 깨끗하게 잘 이용하시는 등 시설을 소중히 다루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시민들이 시설을 이용하는 학교에 대한 응원도 다양한 방법으로 해주시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학교 시설 개방이 나중에 평가를 받을 때, ‘참 잘 했다’는 이야기를 얻을 수 있도록 시에서도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지원하겠다”고 했다.

 

김희정 교육장은 “그간 이상일 시장님과 협력해 학교의 어려운 부분들을 지원하고자 노력해 왔는데, 오늘 이 자리가 그 노력의 가장 큰 결실이 아닌가 싶다”며 “학교 시설 개방에 따른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결단을 내려주신 것은 이상일 시장님에 대한 신뢰와 교육청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신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도 학교 현장을 지원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교육장은 이어 “특히 초등학교는 용인시 내 학교 106곳 전부 이번 협약에 참여하게 돼 그 의미가 매우 크다”며 “앞으로 이 문화가 중·고등학교로도 확산된다면 용인이 경기도 최초의 선도 도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참여해주신 교장선생님들께 다시 한 번 깊이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시는 지난 2023년 12월 27일 시청에서 31개 학교와 체육시설 개방을 위한 협약을 맺고 용인교육지원청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학교시설 지역 개방을 추진해 왔다.

 

이후 2025년 2월에는 학교 3곳이 추가로 참여했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118개 학교가 새롭게 동참함으로써 총 152개 학교와 업무협약을 맺게 됐다.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내 모든 초등학교 106곳이 참여해 학교시설 개방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시는 학교시설 개방에 참여하는 학교에 대해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용인교육지원청은 학교별 의견을 수렴해 개방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한다. 

 

각 학교는 교육활동과 시설관리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체육관, 운동장, 주차장 등 시설을 시민들에게 개방하게 된다.

 

학교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주민은 사전에 신청해야 하며, 개방 범위와 이용 시간 등 구체적인 사항은 학교마다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시는 시청 홈페이지 ‘분야별 정보-교육’ 페이지 내 ‘팝업존’의 ‘학교개방시설 이용신청’ 버튼을 클릭하면 공공자원 통합예약서비스인 ‘공유누리’ 사이트로 연결돼, 시민들이 실내체육관과 운동장 등 개방 시설을 손쉽게 예약·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화성특례시의회-ESG메세나 공동주최, '움직이는 미술관' 11월 초대전 유미희 작가 초대전 《요나의 고래》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화성특례시의회와 ESG메세나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문화예술 프로젝트 ‘움직이는 미술관’이 11월, 유미희 작가의 초대전 《요나의 고래》로 시민들을 맞이한다. 이번 전시는 11월 3일부터 28일까지 화성특례시의회 1층 로비에서 개최되며,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성경 속 요나의 이야기를 오늘의 시선으로 재해석해,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두려움과 회개, 그리고 구원의 가능성을 예술적 언어로 풀어냈다. 작가는 요나가 고래의 뱃속에서 맞이한 어둠과 침묵의 시간을, 현대 도시인들이 겪는 고독과 성찰의 과정으로 치환한다. 작가에게 ‘고래’는 단순한 생명체가 아니라, 복음을 품고 어둠을 통과하는 빛의 매개자이며, 요나가 향했던 ‘니느웨’는 신앙의 언어와 도덕적 감각을 잃어버린 현대 도시의 은유로 제시된다. 작품 속 고래는 심연의 어둠을 머금고 있으나 그 안에는 새 생명의 빛이 깃든다. 유 작가의 붓끝에서 고래는 두려움의 상징이 아닌 회복과 재생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며, 요나의 서사는 우리 각자의 내면에서 되살아나는 회개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유미희 작가는 경기미술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