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문화

교육부, 2학기부터 모든 초등학교에 ‘늘봄학교’ 시작합니다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전체 초등학교 6,185개교 및 특수학교 178개교에 늘봄학교 도입(8.14.)

 

Ⅴ 전국의 늘봄학교에 참여를 희망하는 초등학교 1학년 전원이 참여합니다.

 

· 전국 초1 학생 34.8만 명중 28.0만명(80.0%)이 늘봄학교 참여 희망

- 1학기 3월 12.8만 명 → 6월 15.3만 명

- 2학기 8월 28만 명 (초등 278,286명, 특수 1,297명)

· 각 학교별로 필요한 프로그램 및 공간 등 최대한 확보

· 희망자 전원 수용 가능, 최 돌봄 대기 완전히 해소

 

Ⅴ 각 학교에 전담 인력, 공간, 프로그램을 충분히 지원합니다. (8.9. 기준)

 

· 교사의 늘봄학교 행정 부담 경감을 위해 학교별 전담 인력 배치

→ 전담 인력 9,104명(학교당 1.4명)

· 초등학교 1학년 교실을 학생들이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는 아동친화적 환경으로 개선

→ 교실 6,485실 환경 개선 및 교사연구실 4,453실 구축 완료

· 대학, 기관 등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늘봄 프로그램 공급

→ 초1 맞춤형 프로그램 39,118개 및 강사 35,433명 준비

 

Ⅴ 장애학생의 늘봄학교 참여를 맞춤형으로 지원합니다.

 

· 예·체능, VR 활용 체험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예정

→ 장애유형과 발달 특성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늘봄지원인력 제공

→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에게도 동일하게 지원

 

Ⅴ 2025년 늘봄학교 전담 체계 구축을 위해 늘봄지원실장 배치를 추진합니다.

 

· 교육적 목적에 맞는 늘봄학교 운영을 위해 교육전문직인 ‘임기제 교육연구사’로 배치

→ 현직 교사 중에서 정해진 임기(2년) 동안 학교의 늘봄지원실장을 담당할 교사를 선발하여 전직

 

늘봄학교 운영을 촘촘하게 지원해 학생과 학부모가 안심하고 늘봄학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경상원,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수원 왕갈비·남양주 농특산물 활용해 경쟁력 높여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지난 13일 양평 본원 대교육장에서 ‘2025년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2차 선정지 2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은 상권별 차별화된 특화상품을 육성해 전통시장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설명회에서는 전반적인 사업 실무와 집행 절차 등을 안내했다. 경상원은 지난 5월 1차 모집공고로 ▲중동사랑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신규 밀키트 개발) ▲죽산시장(곱창거리 특화 밀키트 개발) ▲의정부역지하상가(먹거리·마실거리 특화상품 개발) ▲통복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건강 조청 개발) 총 4개소를 선정했다. 이어 지난달 2차 모집공고로 ▲수원 구매탄시장 ▲남양주장현 전통시장 총 2개소를 추가 선정하고 개소당 1억 원(도비 100%)을 투입해 신규 상품개발, 기존 상품 활성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원 구매탄시장은 대표 콘텐츠인 수원 왕갈비 등을 활용한 먹거리 개발 3종을, 남양주장현 전통시장은 농특산물을 활용한 저염·저당 건강 떡 개발 4종을 상권 맞춤형 특화상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