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광고

프레시뱅크, 팬텀엑셀러레이터와 “모바일상품권 50억원” 투자 계약 체결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프레시뱅크가 소상공인 경제적 지원을 위해 “모바일상품권 50억원”을 확보 했다.

 

전 세계 특별한 고기를 찾아 제공하는 플랫폼 프레시뱅크(대표이사 윤정희, CEO 김성균)는 지난 26일 기업 M&A-IPO 엑셀러레이팅 전문 전략그룹 팬텀엑셀러레이터(대표 엑셀러레이터 김세훈, 파트너 엑셀러레이터 변호사 이기영)로 부터 “모바일상품권 50억원” 투자유치를 했다고 밝혔다.

 

 

 

프레시뱅크 김성균 CEO는 이번에 투자유치한 모바일상품권은 팬텀엑셀러레이터 그룹의 자회사인 티켓전문플랫폼 티켓트리에서 발행하는 모바일상품권이다. 백화점, 마트, 주유, 편의점 등 모든 곳에서 1매 5천원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총 50억원의 물량을 확보 했다.

 

이번 확보한 모바일상품권 50억원은 거래처 확보 마케팅 및 소상공인 지원 사업에 전액 사용 될 것이며, 1월 중 프레시뱅크는 “프레시뱅크 동행 소상공인 지원 프로젝트”를 시작할 것이다. “프레시뱅크 동행 소상공인 지원 프로젝트”는 프레시뱅크 플랫폼에서 구매하는 구매 결제 금액 50% 및 전액을 돌려주어 경제적 지원을 하는 내용이다. 단,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업장 입구에 전 세계 특별한 고기 프레시뱅크 취급점이라는 스티커를 붙여야 한다고 말했다.

 

 

 

프레시뱅크 김성균 CEO는 이번에 투자유치한 모바일상품권은 팬텀엑셀러레이터 그룹의 자회사인 티켓전문플랫폼 티켓트리에서 발행하는 모바일상품권이다. 백화점, 마트, 주유, 편의점 등 모든 곳에서 1매 5천원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총 50억원의 물량을 확보 했다.

 

이번 확보한 모바일상품권 50억원은 거래처 확보 마케팅 및 소상공인 지원 사업에 전액 사용 될 것이며, 1월 중 프레시뱅크는 “프레시뱅크 동행 소상공인 지원 프로젝트”를 시작할 것이다. “프레시뱅크 동행 소상공인 지원 프로젝트”는 프레시뱅크 플랫폼에서 구매하는 구매 결제 금액 50% 및 전액을 돌려주어 경제적 지원을 하는 내용이다. 단,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업장 입구에 전 세계 특별한 고기 프레시뱅크 취급점이라는 스티커를 붙여야 한다고 말했다.

 

프레시뱅크에 이번 투자 및 SI(Strategic Investors)로 참여한 팬텀엑셀러레이터의 김세훈 대표 엑셀러레이터는 프레시뱅크는 단순 고기 수입, 판매를 하는 플랫폼이 아니다. 전 세계 특별한 고기를 찾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앞으로 프레시뱅크는 고기에 스토리를 입혀 고기 문화를 판매 할 것이다. 온라인을 넘어 전국에 오프라인 직영 매장들을 열어 갈 것이며, 단순 정육점이 아니라 “고기 문화 쇼핑몰”로 나아갈 것이다.

 

또한, 2024년 상반기에 프레시뱅크에 입점하는 고기 유통업자들 대대적 자금 지원을 위해 “프레시뱅크 고기전당포”를 출범할 것이다. 프레시뱅크 고기전당포 출범 자금 확보를 위해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들과 고기전당포 금융 상품개발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프레시뱅크는 2024년 큰 도약을 할 것이며, 5년안에 3,000억원 이상 가치 기업으로 만들기 위해 팬텀엑셀러레이터 그룹의 인베스트, 언론, 브랜딩, 플랫폼 등 모든 인프라들을 동원하여 프레시뱅크 성장 지원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투자 계약 관계자인 중기이코노미 한순조 지점장과 에스아이웨어 성태경 대표는 프레시뱅크가 고기 소비 문화를 바꿔 5년안에 3,000억원 가치 플랫폼으로 성장하기 위한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고 전했다.


[뉴스출처 : 포탈뉴스(파이낸셜경제)]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경상원,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수원 왕갈비·남양주 농특산물 활용해 경쟁력 높여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지난 13일 양평 본원 대교육장에서 ‘2025년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 2차 선정지 2개소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은 상권별 차별화된 특화상품을 육성해 전통시장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설명회에서는 전반적인 사업 실무와 집행 절차 등을 안내했다. 경상원은 지난 5월 1차 모집공고로 ▲중동사랑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신규 밀키트 개발) ▲죽산시장(곱창거리 특화 밀키트 개발) ▲의정부역지하상가(먹거리·마실거리 특화상품 개발) ▲통복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건강 조청 개발) 총 4개소를 선정했다. 이어 지난달 2차 모집공고로 ▲수원 구매탄시장 ▲남양주장현 전통시장 총 2개소를 추가 선정하고 개소당 1억 원(도비 100%)을 투입해 신규 상품개발, 기존 상품 활성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원 구매탄시장은 대표 콘텐츠인 수원 왕갈비 등을 활용한 먹거리 개발 3종을, 남양주장현 전통시장은 농특산물을 활용한 저염·저당 건강 떡 개발 4종을 상권 맞춤형 특화상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문화예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