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문화

산림청, Q&A로 알아보는 산사태 대응방법

 

(뉴스인020 = 김나현 기자) Q&A로 알아보는 산사태 대응방법, 미리 알아두고 익혀두어 사고에 대비합시다.

 

Q. 장마철이 다가오는데, 우리 집 주변에도 산사태가 발생할까요?

 

A.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사태 위험지도’*에서 내집 주변의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나무, 토양, 경사 등을 토대로 전국 산림의 산사태위험도를 1~5등급으로 분류한 지도

 

Q. 산사태 위험은 비가 얼마나 오느냐에 따라 계속 바뀌지 않나요?

 

A. 맞습니다. 이에 따라 5월부터 ‘산사태 위험지도’에 실시간 강우 데이터를 반영한 ‘실시간 산사태 위험지도’*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실시간 강우량과 토양함수량에 따라 실시간 변경되는 산사태 위험도를 제공하는 지도

 

Q. 산사태 위험을 홈페이지나 앱에서 계속 확인을 해야만 하나요?

 

A.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면 지자체장이 위험 정도에 따라 산사태 예보(주의보, 경보)를 발령하고 즉시 해당 지역 주민에게 재난문자와 마을방송 등으로 알려드립니다.

 

Q.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면 어디로 대피를 해야 하나요?

 

A. 산림청 국유림관리소와 지자체에서 지정하는 ‘산사태취약지역 대피소’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습니다.

유사시에 대비하여 우리 동네 대피소를 미리 확인해두세요!

 

Q. 대피소 위치도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맞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스마트산림재난’과 ‘안전디딤돌’ 어플리케이션, ‘국가재난안전포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 산사태 위험에 대비하여 지정된 대피소는 쉽게 알아볼 수 있나요?

 

A. 대피소 입구에 ‘안내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어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Q. 산사태 재난에 대비하여 평소 준비해야 하는 것이 있나요?

 

A. 스마트폰에 산사태 예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산림재난’ 앱을 미리 설치하고 대피 장소와 경로를 미리 숙지하여야 합니다.

또한 비상용품(식품, 구급약품 등)도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합니다.

 

“산사태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할 수는 있습니다!”

배너


전체뉴스

더보기

경기도

더보기
안성교육지원청, 브런치와 함께 나누는 자녀 이야기...유-초 이음 학부모(보호자) 역량 강화 실시
(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은 관내 공립유치원과 연합하여 7월 11일(금) 공유학교 안성맞춤캠퍼스 중회의실에서‘2025 유ㆍ초 이음교육 학부모(보호자) 역량강화 연수 및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 및 협의회는 관내 유치원-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정에 지금 필요한‘맞춤 성교육’특강으로 문을 열었으며, 아로마테라피 오일 만들기 체험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에는 브런치를 곁들인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자녀 교육, 학부모로서의 고민과 공감대를 나누는 자율 Talk 협의회가 진행되어 참여자 간의 소통과 연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이정우 교육장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 이음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정과의 협력, 특히 학부모의 이해와 공감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이번 연수 및 협의회를 통해 학부모들이 자녀의 연령 특성에 맞는 양육 정보를 공유하고, 학교(유치원) 교육에 대한 신뢰와 유대감을 키우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라고 전했다. 이번 행사는 유-초 이음교육의 실질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학부모와의 소통 문화를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