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020 = 김성길 기자) 서울시는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라이프위크(SLW) 2025'에서, 금년 행사에서 처음 신설한 ‘시민혁신상’의 최종 수상 기업을 선정하고 10월 2일 오후 1시 30분 코엑스 C홀 메인무대에서 시상식을 개최했다.
시민혁신상은 기존 CES 혁신상과 차별화되는 상이다. CES가 전문가를 중심으로 기술의 완성도와 혁신성을 평가하는 성격이라면, 시민혁신상은 시민 눈높이에서 실제 삶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평가하는 데 중심을 두었다.
이번 시민혁신상은 오프라인 전시에 참가한 총 208개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2일간 시민기자단 23명(50%), 현장 방문객 투표 6,836표(50%), 그리고 분야별 전문가 12명의 가점 평가를 종합해 최종 결과를 도출했다.
특히 이번 상은 서울시장이 직접 시상하는 ‘서울시장상’으로 수여되어, 수상 기업의 권위와 의미를 더했다.
첫 번째 시민혁신상의 영예의 1위는 CJ올리브네트웍스에게 돌아갔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쇼룸관에서 SH공사와 협업하여 용산 국제업무지구의 ‘스마트룸’을 3D 영상과 디오라마로 구현해 선보였다. 실제 생활공간을 방불케 하는 몰입형 체험을 제공하면서 시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현장을 찾은 방문객들뿐 아니라 전문가들도 “스마트도시 구현의 구체적 모델을 보여줬다”고 호평했다.
2위는 ㈜오티튼 메디컬이 차지했다. 이 기업은 AI 기반 스마트 체온계를 전시해 시민들이 직접 기기를 만져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시민들은 “생활 속에서 당장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호평했고, 전문가들도 헬스케어 분야의 확장 가능성을 인정하며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이밖에 스테이지핸즈가 개발한 스마트 수직이동 침대와 옷장이 3위를 차지했으며, 건국대 원헬스 스마트시티의 실버헬스와 닥터헬펫 서비스가 4위에 올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휴머노이드 로봇 ‘마루’를 선보여 5위를 기록했다.
분야별 특별상으로는 로봇쇼 부문의 나우로보틱스, 쇼룸 부문의 인텔리콘연구소, 기후테크 부문의 일월정밀, 모빌리티 부문의 국립한국교통대학교 AI에듀테크융합교육원, 주제관 부문의 플루이즈가 각각 선정됐다.
수상 기업에게는 차년도 SLW ‘시민혁신상 존’에서 전시 기회가 주어진다. 이를 통해 우수 기업이 지속적으로 시민과 만나고, 혁신 기술을 확산·사업화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CES가 전문가 중심의 기술평가라면, 시민혁신상은 시민이 직접 참여해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기술을 뽑은 최초의 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수상 기업들이 내년에도 시민과 다시 만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앞으로도 시민·기업·전문가가 함께 만드는 글로벌 혁신 플랫폼으로 SLW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